조문예절 천주교 장례정보
페이지 정보
본문
천주교 장례정보
*종부성사
- 운명할 때 행하는 성사를 종부라고 하며 의식이 있을 때 신부를 정하여 종부성사를 받는다.
- 오늘날에는 명칭이 바뀌어 병자성라고 하기도 한다.
- 환자의 옷을 깨끗하게 갈아 입히고 성유를 바를 곳, 즉 얼굴과 눈, 코, 입, 손바닥, 발바닥 등을 씻어 주고, 상위에 흰 천이나 백지를 깔고 그 위에 십자고상과 촛대, 성수그릇, 성수체, 작은 그릇 등을 준비한다.
- 신부가 도착하면 상위의 촛대에 불을 밝히고 고해성사하는 동안에는 신부와 환자만 남기고 다른 사람들은 모두 물러난다.
- 고해성사가 끝나면 노자성체, 종부성사, 임종 전 대사의 순서로 성사를 진행한다.
*임종 전 대사
- 종부성사는 신부가 없이 운명했을 때에도 받을 수 있으며, 임종을 지켜보는 사람들이 환자를 위로하고 격려하는 말을 해주고 <성서>가운데 거룩한 구절을 선택하여 읽어 준다.
*운명
- 환자가 숨을 거둘 때는 성촉에 불을 밝힌다.
- 성촉이란 성랍으로서 신성한 용도에 쓰기 위해 별도로 만든 초를 말한다.
- 기도문으로는 임종경이나, 성모덕시도문, 매괴경을 읽으며 기도문을 숨을 거둔 다음에도 얼마 동안에 계속해서 읽는다.
- 환자가 마지막 숨을 거둘 때에는 환자의 마음을 편하게 하기 위해 흐느끼거나 통곡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.
*초상
- 환자가 운명한 뒤에는 깨끗한 옷으로 갈아 입히고 손과 발이 굳어지기 전에 가지런히 해준다.
- 손은 합장 시켜 묵주나 십자가상을 쥐어 주고 눈을 쓸어 감게 하며 입도 다물도록 해준다.
- 고인 머리맡의 상위에는 십자고상을 모시고, 양쪽에 촛불을 밝히고 성수 그릇과 성수를 놓는다.
- 입관까지 이런 상태를 계속 유지하며 가족들은 그 옆에 앉아서 위령 기도를 올린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