삼일장 진행절차 > 장례정보

본문 바로가기
서브비주얼

부고장은 내 가족처럼 정성을 다하겠습니다.

장례정보

  • HOME
  • 장례정보

장례절차 삼일장 진행절차

페이지 정보

본문

장례 1일차

1. 임종

- 마지막 숨이 넘어가는 것을 말하며 운명이라고도 한다.


2. 수시

*자택에서 하는 경우

수시는 친척이나 친지 중 범절에 밝은 분이 하도록 한다.

눈을 곱게 감도록 쓸어 내리고 팔다리를 매만져 가지런히 한다.

손발이 굽어지지 않게 곧게 펴서 남자는 왼손을여자는 오른손을 위로하여 배 위에 가지런히 올려 놓고 두 다리는 똑바로 모아 백지나 붕대로 묶는다.

머리에서 발긑까지 흰 천이나 혹은 희고 깨끗한 홑이불로 덮는다.

- 수시가 끝나면 병풍이나 검은색 휘장으로 가리고 그 앞에 고인의 (영정)사진을 모시고 양쪽에 촛불을 켜고 향을 사른다이때는 영정에 검은 리본을 두르지 않는다.

- 고인을 모신 방은 차게 하며 방을 비우지 않도록 한다.


3. 발상

상이 났음을 외부에 알리고 상례를 시작

- 유가족은 흰색이나 검정색의 검소한 옷으로 갈아입으며 귀걸이나 목걸이 등 치장을 하지 않는다.


4. 장례방법

- 가족장단체장기타 고인의 사회적 지위나 활동유언에 맞추어 정하고 혹은 종교적 예식으로 할 것인지의 여부 등을 결정

- 화장 및 매장 여부를 결정하고 화장일 경우 화장장의 예약관계매장일 경우 묘지 등을 결정

- 부고대상 및 방법(이메일신문전화전보서신 등)을 정한다.

- 장례식장상조회사 등을 통해 장례방법 절차 등에 대해 상담 및 자문을 받는다.(염습시간(입관), 제례절차장지관련(,화장), 발인접대 식음료꽃 장식조화주문장례용품영구차예약 등)


5. 부고

- 고인과 유족의 친지나 친척지인단체(회사등에 알린다.

- 부고에는 장례식장 및 연락처장례기간(안치~발인일)과 장지를 포함하도록 한다.

 

장례 2일차

1. 염습

- 시신을 정결하게 씻기어 수의를 입히는 것으로 입관 전에 행하는 절차

- 전통적으로 향나무나 쑥을 삶은 물로 시신을 정결하게 씻기었지만 근래에는 알콜 소독된 솜 또는 거즈를 사용


2. 반함

- 전통적으로는 고인의 입에 불린 생쌀을 버드나무 숟가락으로 좌중앙에 각각 1숟가락씩 넣고동전이나 구멍이 뚫리지 않은 구슬을 넣어 주고 망자가 먼 저승길을 갈 때 쓸 식량과 노자돈이라 여겨 행하지만현대적 장례에서는 생략하는 추세이다.


3. 입관

- 시신을 관에 모실 때는 시신과 관 사이에 깨끗한 보공(백지나 마포삼베혹은 고인이 입던 옷 중에서 천연섬유의 옷을 골라 둘둘 말아넣어 시신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.

- 고인의 유품 중 염주나 십자가성경 등을 넣어 드리기도 한다.

- 화장일 경우에는 관에 부장품 넣어 드리지 않음(대기 환경오염/화장장 규제)


4. 영좌설치

- 고인 앞에 병풍이나 검은 휘장을 치고 그 앞에 영좌를 설치한다.(전통 상례)

- 영좌란 고인의 사진이나 혼백을 모셔 놓은 자리로 사진(영정)에 검은 리본을 두른다.

- 제사 위에 영정을 모시고 영정 양 옆으로 촛불을 밝힌다.

- 제상 앞에는 향탁을 놓고 향을 피운다.

- 영좌의 앞에 문상개을 맞을 자리를 마련하고 옆에 사주자리를 깐다.

- 상주의 자리는 거친 자리로 까는데 그 까닭은 죄인이라 초토에 몸을 둔다는 뜻으로 문상객을 맞는 상주들이 방석을 깔고 앉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.


5. 성복

-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다는 뜻으로 상주(상제고인의 배우자직계비속)와 복인(고인의 8촌 이내의 친족)은 성복을 한다전통적인 상복으로 굴건제복을 입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이를 양복으로 입는다.


*남자의 경우

무늬가 없는 흰 와이셔츠에 검정색 양복을 입고 검은 넥타이를 맨다.

- 검정색 양말과 구두를 신는다.

- 평상복 부득이한 경우 평상복을 입는데 이때에는 점잖은 색(검정색 계통)으로 입고 왼쪽 가슴에 상장이나 흰 꽃을 달고 두건을 쓴다.

- 완장은 삼베로 만들어 졌으며검은색의 줄이 그어져 있는데당원 장례식장에서는 두 줄과 한 줄 그리고 무줄이 있다.

- 두줄 아들과 사위아들이 없을 시에는 장손이 착용한다.

- 한줄 기혼인 복인(반드시 상복을 입지 않고 완장만 착용을 해도 복인이 된다.)

- 무줄 미혼인 복인(주로 손자들이 착용하게 된다.)

- 복인은 부계 8모계 4촌까지로 한다.

- 완장의 사용시기는 정확하지는 않으나가정의례준칙이 나오면서 굴건제복 대신 상주임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가 되어 직계과 비속을 구분하기 위한 수단으로 줄을 넣고 넣지 않음으로 구분하게 되었다.


*여자의 경우

- 흰색 치마저고리를 입고 흰색 버선(양말)과 흰색 고무신을 신는다.(종교적 및 기호에 따라 검정색 한복을입니다.)

- 양장을 할 경우에는 검정색을 입으며 양말이나 구두도 검정색으로 통일하는 것이 좋다.

- 무명천으로 만들어진 머리 핀을 말한다.

- 남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좌측머리 부분에 리본을 꽂는다.

- 여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우측머리 부분에 리본을 꽂는다.

- 상복을 입는 기간은 장일까지 하되 상제의 상장(리본)은 탈상까지 한다.


6. 문상

- 성복이 끝나면 문상을 받는다.

- 상주 및 유족은 근신하고 애도하는 마음으로 영좌가 마련되어 있는 방에서 문상객을 맞이하며문상객이 들어오면 일어나 곡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습이다.

-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전통의식에서 문상객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하지만간단히 고마움을 표하는 것도 좋다상주는 영좌를 모신 자리를 지키는 것이 우선이므로 문상객을 일일이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.

 

장례 3일차

1. 발인

- 관을 이동할 때는 항상 머리 쪽이(종교적 차이가 있음먼저 나가야 한다.

- 천주교는 하반신부터 나감


*종교의식

- 일반제 발인제(발인에 앞서 간단한 제물을 차리고 제사를 올리는 의식)

- 기독교 발인예배

- 천주교 출관예절 발인미사


2. 영결식

- 고인의 신분에 따라 가족장단체장사회장종교행사 등으로 하는데 단체장이나 사회장의 경우 장의위원회가 구성되어 주재한다.(종교행사일 경우 그 형식에 따른다.)


3. 운구

- 발인제가 끝난 후 영구를 장지까지 영구차나 상여로 운반하는 절차

- 영구차를 이용할 경우에는 영정명정상주 및 유족문상객의 순으로 승차하고상여의 경우 영정명정영구(상여)가 앞서고 상주가 따르며 문상객이 따른다.


4. 하관

- 영구를 광중에 넣는 것을 말한다.

- 하관 때에는 상주와 복인이 참여하되 곡은 하지 않는다.

- 관을 수평과 좌향을 맞추어 반듯하게 내려 놓고 명정을 관 위에 덮는다.

- 횡대를 가로 걸친 후 상주는 흙을 관 위에 세 번 뿌린다.


5. 성분

- 평토 취토가 끝나면 석회와 흙을 섞어 관을 덮는 행위

- 봉본 흙을 둥글게 쌓아 올려 잔디를 입힌다.

- 지석 봉분이 끝나면 지문을 적은 지석을 묘의 오른쪽 아래에 묻는 행위

- 봉분이 유실되더라도 누구의 묘인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


*위령제 및 성분제

- 성분이 끝나면 요소 앞에 영좌를 모시고 간소하게 제수를 차린 뒤 고인의 명복을 빌고 영혼 위로하는 제사를 올린다.

- 화장을 했을 경우에는 영좌를 유골함으로 대신하여 제를 올린다.

- 축문 전통방식과 현대식이 있음


*현대식 축문인 경우

- 년 월 일 (00)는 (아버님영전에 삼가 고하나이다오늘 이 곳에 유택을 마련하였으니 고이 잠드시고 길이 명복을 누리소서

- 년 월 일 남편(00)은 당신의 영 앞에 고합니다이 곳에 유택을 마련하였으니 고이 잠드소서 길이 명복을 누리소서


6. 반우제

- 장지에서 위령제가 끝나면 상제들은 영위를 모시고 집으로 돌아와 그 날 영혼을 집에 맞아 들이는 의식이며이를 반우제 또는 초우제라고도 한다.

- 반우제는 제물을 생략하고 배례나 묵도로 대신하여도 되고 이로써 삼일 장례는 끝나게 된다.